|
|
푸조 408 하이브리드 국내 출시 가격 포토 성능
푸조 408 하이브리드
푸조 408 하이브리드 국내 출시 가격 포토 성능을 알아보겠습니다. 푸조는 최근 들어 최신 트렌드 디자인을 적용하면서 국내에서도 인지도가 상당히 오른 상태입니다. 판매량으로 보면 미비하지만 그래도 성장률은 상당히 높다고 볼 수 있죠.
다른 제조사들과는 다른 디자인을 적용하는 게 상당히 매력적으로 다가왔는데요. 이번에 소개해드릴 408은 국내 소비자들이 좋아하는 준중형 패스트입니다. 자세히 살펴보시죠.
세련된 디자인
저도 지나가다가 신형 푸조를 보면 눈길을 끌게 만드는 디자인들을 갖추고 있습니다. 일반 세단 모델은 기존처럼 라디에이터 그릴이 있지만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는 라디에이터 그릴을 삭제하고 그릴 형상의 그래픽을 적용하여 마치 그릴이 있는듯한 느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라디에이터 그릴은 없지만 범퍼 그릴을 남겨놓으면서 공기를 순환하여 엔진열을 식힐 수 있는 공간을 남겨놔서 자연냉각은 걱정 안 해도 되겠죠.
그릴과 헤드램프를 일체형으로 디자인 되면서 직사각형 디자인의 구 LED 헤드램프를 적용하였는데 내연기관과는 다른 디자인을 갖췄습니다. 내연기관은 헤드램프 커버가 있고 세련된 디자인이 아니지만 하이브리드는 카니발처럼 커버가 없어서 훨씬 깔끔한 디자인을 연출하고 있죠.
디자인에서 가장 신경쓰는 디자인인 DRL은 헤드램프 양 끝에서부터 에어 커튼 하단부까지 수직형으로 디자인되었습니다. 기본적인 디자인이 아닌 빵칼 같은 디자인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전면부보다는 후면부 디자인이 상당히 맘에드는 부분입니다. 디자인을 보면 후면부에서는 테일램프 디자인이 80% 이상을 차지하게 되는데 408의 테일램프는 상당히 매력적입니다. 마치 헤드램프처럼 3개로 분할되어 있으며 그래픽은 사선 형태로 부분별로 1개씩 한쪽당 3개씩 이루어져 있습니다. 남들과 다른 디자인을 하고 매력저인 디자인으로 보인다는 건 상당히 어려운데 이걸 푸조가 냈습니다.
한국인이 좋아하는 패스트백
SUV 시장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SUV 쿠페 모델이 점점 증가하고 있습니다. 쿠페 모델이 바로 패스트백인데요. 푸조 408 역시 SUV이지만 쿠페형 디자인으로 세단과 같은 날씬한 디자인을 갖췄지만 SUV처럼 지상고는 높아 시야 확보는 더 좋습니다. 거기에다가 세단보다 더 짐을 많이 실을 수 있어서 세단과 SUV 사이가 바로 쿠페형 SUV라고 할 수 있죠.
크기는 전장 4,687mm, 전폭 1,859mm, 전고 1,478mm, 휠베이스 2,787mm의 크기를 갖춰 스포티지, 투싼과 같은 크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패스트백인걸 감안하면 스포티지, 투싼보다는 작다고 할 수 있겠죠.
깔끔한 인테리어
인테리어 역시 깔끔하게 적용되어있습니다. 10인치 풀 디지털 클러스터와 센터 디스플레이가 적용되었는데 요즘 트렌드인 클러스터 하우징을 적용할 필요가 없었는데 아쉽습니다. 센터패시아에 적용된 물리적 버튼은 푸조 트레이드 마크라고 할 수 있는 레버 방식의 버튼으로 깔끔하게 적용되어 있으며 변속기는 BMW에 적용한 기어 시프터 방식을 채택하였습니다. 개인적으로 기어 시프터 변속기도 상당히 매력적이라서 좋은데 푸조도 적용하였습니다.
408 가격
현재 푸조 408은 유럽에서 한화 4,800만 원에서 판매를 시작하였습니다. 현재 국내에서는 가격 책정이 되지 않았기 때문에 4천 중후반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보편적으로 유럽 차 가격이 더 비싸기 때문에 국내 판매한다면 더 낮은 가격대로 예측하죠.
2개의 파워트레인
408은 역시 디젤엔진이 없는 가솔린과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2가지만 판매합니다. 우선 가솔린은 1.2L 터보 최고출력 131마력, 최대토크 23.5kg.m의 힘을 갖췄으며 연비는 12.9KM/L를 기록하였으며, 가솔린 모델 가격이 4천 중반대입니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는 1.6L 싱글터보 4 기통 엔진이 장착되어 2가지 힘을 갖춘 모델을 판매합니다. HYBRID 180은 최고출력 180마력이며, HYBRID 225 모델은 최고출력 225마력을 갖췄습니다.
전기 주행거리
배터리 용량은 12.4 kWh가 장착되어 있으며, WLTP(유럽기준) 주행거리는 64KM를 전기로만 주행이 가능합니다. 국내에 투입되어 측정하게 되면 약 40km 후반대가 나오지 않을까 예상되는데요. 그렇다면 약 왕복 50km를 주행하는데 유류비는 많이 절감되겠네요.
판매량 받쳐줄까?
쿠페형 SUV는 디자인을 우선순위로 생각하는 소비자들이 좋아하지만 전통적인 SUV와 비슷한 판매량을 갖추진 못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판매량이 상당히 높게 나오고 있기 때문에 국내 판매에는 아주 좋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측하는데요. 하지만 아쉬운 것은 AS망이 많이 없어서 구매할 때 AS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AS 문제만 해결하거나, 차량 고장이 별로 없다면 아마도 판매량은 상당히 받쳐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