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3 토레스 EVX 가격 옵션 보조금 주행거리 배터리
2023 토레스 EVX
2023 토레스 EVX 가격 옵션 보조금 주행거리 배터리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쌍용 토레스는 최근 KG모빌리언스가 인수하면서 상승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인수 전에 토레스 모델 출시를 준비하고 있으면서 새로운 경영진이 투입되어 자금난을 해소하면서 최근 쌍용 토레스가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현대 기아와는 전혀 다른 디자인을 적용하였는데 오프로드 디자인과 최신 트렌드 디자인을 적절히 조화롭게 디자인하였습니다. 저 역시 디자인이 정말 잘 나왔다고 생각하는데 전기차 토레스 EVX를 출시하였는데요. 디자인도 바뀌었다고 하니 토레스 전기차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전기차 전용 디자인
토레스가 전기차 EVX를 출시하면서 기존 가솔린 모델의 디자인과 많이 달라졌습니다. 상단부에 적용되어 있던 6개의 그릴패턴을 디지털로 변경하고, DRL 디자인은 양 사이드에 수평으로 길게 뻗는 디자인으로 변경하면서 헤드램프는 안개등이 있는 위치로 옮기면서 분리형 램프를 적용하게 되었습니다. 디지털 그릴로 인해 확실히 미래지향적 이미지로 보이고, 디자인도 어느 정도 바뀌면서 깔끔한 이미지를 갖추게 되었습니다. 모터열을 어느 정도 식혀줘야 하기 때문에 범퍼 그릴을 남겨놓았습니다.
후면부에서는 테일램프 디자인이 변경 되었습니다. 기존에는 테일램프를 연결하는 고리형태로 디자인되어 있었지만 상하 3개씩 수직형 패턴으로 변경되어 깔끔해졌습니다. 기존 토레스 테일램프나 토레스 전기차 EVX 테일램프 모두 매력적인데 개성은 기존 테일램프가 훨씬 나은 모습입니다.
한 가지 아쉬운점은 KGMOBILITY 레터링 엠블럼을 새롭게 적용했는데 KG그룹을 알리기 위해 적용한 것으로 보이지만 상당히 안 어울리죠. 차라리 토레스 EVX 레터링 엠블럼을 적용했으면 좋았을 텐데... 자동차 브랜드 이름을 레터링으로 적용하는 경우는 본 적이 없죠. 보통은 엠블럼을 적용하여 상징적인 이미지를 갖지만 KG 그룹이 자동차 산업에 처음 들어왔기 때문에 사명을 널리 알리려고 한 뜻으로 풀이됩니다.
미래지향적 인테리어
인테리어도 기존 토레스에서 미래지향적 이미지로 많이 바뀌었습니다. 요즘 트렌드인 파노라믹 디스플레이를 적용하였고 크기도 계기판, 센터 디스플레이 모두 12.3인치 크기로 적용되었습니다. 그리고 BMW 신형 모델마다 적용하고 있는 변속기는 기어 시프터를 적용하였습니다. 개인적으로는 기어 시프터를 좋아하기 때문에 쌍용 기술력도 많이 좋아진 듯 보이죠.
LFP(인산철) 배터리
토레스 EVX는 LFP 배터리를 탑재하였습니다. 중국산 배터리를 탑재하면서 차량 가격을 낮출 수 있는 원인이 바로 이 배터리 때문이죠. 거기에다가 인산철 배터리가 가격이 리튬 이온 배터리에 비해 30% 저렴한 가격대라는 점이 장점이지만 단점은 리튬 이온 전지 대비 무겁고 성능이 떨어집니다. 하지만 장점이 많아서 국내 기업들도 LFP 배터리로 갈아타려고 하고 있는데 기존 인산철 배터리에서 개발을 진행 중에 있어서 개발이 완료되면 곧 LFP 배터리로 교체할 것으로 보입니다.
쌍용차가 국내 배터리인 리튬 이온 배터리를 장착하면 가격 경쟁력을 내세울 수 없기 때문에 인산철 배터리를 체택하였는데 중국 브랜드를 제외하고 인산철 배터리를 사용하는 브랜드는 아직까지 없죠.
주행거리
BYD에서 제작한 배터리 73.4kWh 용량을 장착하여 WLTP 기준 500km, 국내 인증 420km 이내로 인증될 것으로 자신하고 있습니다. 확실히 에너지밀도가 부족해서 그런지 주행거리가 상당히 짧죠. EV6 주행거리와 비교를 해보면 짧다는 걸 느낄 수 있지만 그렇게까지 많은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하지만 해당 인증거리는 국내 인증거리라서 실 주행거리를 비교해 봐야 알 수 있죠.
토레스 EVX 가격표
가격표를 보면 2개의 트림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E5 4,850~4,950만 원, E7 5,100~5,200만 원에 책정되었으며, E7 트림에서는 3D 어라운드 뷰 모니터링 시스템 선택옵션(100만 원)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옵션들도 보면 빠짐없이 다 들어있어서 정말 좋다고 볼 수 있는데요. 자율주행도 모두 기본적용되어 있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E5에 적용되는 옵션을 보면 12.3인치 계기판 및 디스플레이, 18인치 다이아몬드 컷팅 휠, 기어 시프터 등이 기본 사양이며, 안전 사양에서는 인텔리전트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IACC), 긴급 제동 보조(AEB : 차량, 보행자), 전방 추돌 경고(FCW), 차선 이탈 경고(LDW), 차선 유지 보조(LKA), 부주의 운전 경고(DAW), 안전거리 경고(SDW), 앞차 출발 경고(FVSW), 중앙 차선 유지 보조(CLKA), 스마트 하이빔(SHB), 8 에어백(운전석, 동승석, 1열 사이드, 1열 파사이드, 커튼, 운전석 무릎), ESP(가변형 HDC, BAS, ARP, HSA, ESS, 트레일러 스웨이 컨트롤), 다중 충돌 방지 시스템, 전방 주차 보조 경고, 후방 주차 보조 경고가 적용되었습니다.
2022 기아 EV6 롱 레인지 가격 실주행거리 보조금 출고기간
최고급 트림인 E7에는 20인치 다이아몬드 컷팅 휠, 천연 가죽 시트, 도어 스폿, 3D 매쉬 매트와 더불어 자율 주행 기술인 긴급 제동 보조(AEB : 교차로 대향차, 교차 차량, 측방 접근차, 추월 시 대향차, 회피 조향 보조 기능 포함), 후측방 경고(BSW), 후측방 충돌 보조(BSA), 후측방 접근 충돌 보조(RCTA), 후측방 접근 경고(RCTW), 차선 변경 경고(LCW), 안전 하차 경고(SEW)가 적용됩니다. 여기서 경고보다는 보조가 많이 적용됐으면 더 좋았겠다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보조금
보조금은 100%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최대치를 받게 된다면 3,990만 원에 구매가 가능한데요. 서울 같은 경우에는 860만 원을 받을 수 있어 4,100만 원대에 구매가 가능합니다. 중형급 전기차를 4,000만 원대에 구매가 가능하다는 건 정말 가성비차라고 할 수 있습니다.
EV6와 가격비교를 해보면 상당히 저렴한 걸 알 수 있습니다. 거기에다가 토레스 크기가 더 큰 걸 감안하면 엄청 싸게 잘 나왔죠. 분명한 건 상당한 인기를 끌 수 있는 스펙을 갖췄다고 볼 수 있는데요. 과연 얼마나 팔릴까요? 쌍용이 다시 부활할 수 있는 좋은 시점인 듯 보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