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2 기아 EV6 롱 레인지 가격 실주행거리 보조금 출고기간
2022 기아 EV6
2022 기아 EV6 롱 레인지 가격 실주행거리 보조금 출고기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아 EV6는 기아에서 최초로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로 제작한 첫 전기차입니다. 기존 내연기관 플랫폼을 적용한 전기차는 출시했지만 E-GMP를 적용한 전기차는 처음이라 뜻깊다고 볼 수 있습니다.
E-GMP는 전기차에 최적화되어 실내 거주성이 더욱 넓어져서 준중형 크기인 EV6가 팰리세이드만큼의 실내공간을 확보했습니다. 패밀리카로도 손색이 없을 만큼 좋은데요. 아래에서 EV6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쿠페형 SUV EV6
기아에서 크로스오버 디자인의 SUV 모델은 없었습니다. 그래서 그런지 EV6를 출시할 때 많은 기대를 모았습니다. 우선 전면부 특징은 후드가 낮아서 전면부 면적이 넓지 않습니다. 그래서 디자인들이 차지하는 요소가 크지 않습니다.
헤드램프는 펜더쪽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디자인을 하고 있어 헤드램프가 2구인데 수직형 형태입니다. 슬림하게 죽을 인하지 않은 이유는 트림에 따라 일반 전구도 들어가기 때문입니다. DŔl은 헤드램프 안쪽부터 상하단으로 퍼지면서 점선 형태의 디자인을 택했는데 뭔가 꽉 찬 느낌입니다. 헤드램프 사이에 얇게 적용된 하이그로시는 마치 헤드램프를 일체형처럼 디자인된듯한 인상을 줍니다. 아마도 페리 때 일체형 DRL을 적용하기 위한 큰 크림으로 보입니다.
그릴이 없다보니 인테이크 그릴이 차지하는 비중이 큰데 이 또한 상당히 잘 어울립니다.
기아 스포티지 LPG(LPi) 출시 가격표 옵션 총정리
EV6에 가장 눈에 띄는 디자인은 바로 후면부입니다. 크로스오버 디자인을 보면 리어 글라스에서 끝나는 지점을 마치 칼날처럼 날카롭게 디자인되어 있는데 그 부분에 테일램프 디자인을 적용하였습니다. 일체형 테일램프를 적용하고 슬림하게 디자인하다 보니 테일램프 다자인도 입체적으로 느껴집니다. 현재 존재하는 차종중에서 EV6와 같은 뒤태가 없어서인지 현재 세계적으로 열풍입니다.
날렵한 측면부
크로스오버 디자인을 봤을 때 측면부의 라인은 정말 예술입니다. 쿠페보다는 아니지만 크로스오버 디자인도 예쁘죠. 크로스오버 디자인을 갖춘 EV6 크기는 전장 4,680mm, 전폭 1,880mm, 전고 1,550mm, 휠베이스 2,900mm로 스포티지와 비슷한 크기이지만 실내는 팰리세이드보다 더 큰 크기를 갖췄죠. EV6가 지상고만 높았지 전체적인 윤곽이나 높이를 보면 세단이라고 봐도 무방할 정도입니다.
측면부의 특징은 전기차에 적용하는 플래시 도어핸들을 적용하고, 리어 펜더까지 뻗어있는 테일램프 라인과 전면부 범퍼 라인부터 스커트 라인까지 길게 뻗은 라인이 테일램프와 연결되면서 전체적으로 라인이 차체를 한 바퀴 감싸고 있습니다. 뭔가 디자인의 철학이 있는듯한 느낌입니다.
기아 패밀리룩 적용한 인테리어
기아차의 새로운 패밀리룩이라고 할 수 있는 인테리어를 완성하였습니다. K8, 스포티지에 적용한 파노라믹 커브드 디스플레이를 적용하요 클러스터, 디스플레이 모두 12.3인치 크기로 제작되었습니다. 돌출형 디자인으로 적용하면서 클러스터 하우징을 없애 운전자의 시야를 넓혔습니다.
센터 송풍구와 조수석 송풍구를 일체형으로 디자인하고 바로 하단에는 엠비언트 라이트를 적용하였습니다. 그리고 공조장치를 조절하는 버튼들은 모두 터치로 변경하였는데 K8에 적용한 것과 같은 버튼 전환 시스템으로 공조장치 버튼을 누르면 공조장치 버튼이 활성화되고, 오디오 버튼을 누르면 오디오 버튼들이 활성화되는 방식입니다. 확실히 시작적으로 깔끔하면서 고급감을 같이 살렸죠.
센터 콘솔은 기아가 추구하는 전자식 변속 다이얼을 적용하고, 센터 콘솔에 시동 버튼을 장착하였습니다. 그리고 라인을 따라서 흐르는 엠비언트 라이트까지 적용하여 고급감을 살리고 있습니다. 센터콘솔에서 특이한 점은 바로 센터 콘솔도 플로팅 타입인데요. 전기 차인 만큼 차축이 필요 없어 여유공간을 더욱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디자인을 하여 수납공간을 더욱 확보하였습니다.
롱 레인지 스탠다드 가격표
최근 기아에서 스탠다드 엔트리 트림인 라이트 트림을 삭제하여 각각 2, 3개의 트림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최근 우크라이나 러시아 전쟁으로 인해 원자재 가격이 급격히 상승하여 차량 가격 인상을 피할 수가 없습니다. 현재 EV6의 가격은 아래와 같습니다.
2022 제네시스 G90 풀체인지 출시 가격 롱바디 옵션 고급스러운 실내
- 스탠다드 에어 - 원가 5,037만 원, 개소세 3.5% 4,945만 원, 세제혜택 후 4,730만 원
- 스탠다드 어스 - 원가 5,490만 원, 개소세 3.5% 5,390만 원, 세제혜택 후 5,155만 원
- 롱 레인지 에어 - 원가 5,435만 원, 개소세 3.5% 5,353만 원, 세제혜택 후 5,120만 원
- 롱 레인지 어스 - 원가 5,959만 원, 개소세 3.5% 5,850만 원, 세제혜택 후 5,595만 원
- 롱 레인지 GT 라인 - 원가 6,049만 원, 개소세 3.5% 5,938만 원, 세제혜택 후 5,680만 원
이제 곧 있으면 연식변경 모델이 출시되는 게 가격은 지금 봐 더 많이 상승할 전망입니다. 그래도 이 급에서 이 가격대면 상당히 괜찮은 가격대라고 할 수 있습니다.
EV6 보조금
우리가 알고 있는 보조금 지급기준은 5,500만 원 이하 100%, 5,500~8,500만 원 이하 50%, 8,500만 원 이상 받지 못하는 게 전기차 보조금 지급 기준입니다. 하지만 단순히 가격으로만 접근한다면 EV6 롱 레인지 어스부터는 보조금을 지급받지 못하죠. 하지만 지급기준이 단순 가격대로 책정하는 게 아닙니다.
스탠다드, 롱 레인지에서 가장 엔트리 트림 시작 가격 1가지로만 책정하기 때문에 보조금 지급기준이 엔트리 트림으로 결정됩니다. 즉 무슨 뜻이냐 EV6 스탠다드 에어 트림에서 4,945만 원이 보조금 지급 기준이 되며 롱 레인지 역시 에어 트림 가격인 5,353만 원이 지급 기준이 됩니다. 그러므로 EV6는 최상급 트림인 GT 라인을 선택하더라도 보조금을 100% 받을 수 있습니다.
국고보조금 최대가 700만 원인데 5,500만 원 이하라고해서 모두 지급하는 게 아닌 전비, 주행거리에 따라서 조금씩 변동이 있습니다. EV6는 전비가 좋아서 주행거리가 배터리 용량 대비해서 길기 때문에 보조금 700만 원은 전 모델 다 받을 수 있습니다.
지자체 보조금 역시 서울 200만 원, 부산 350만 원, 대구 400만 원을 받을 수 있으며 가장 많이 받는 지역으로는 경상북도에서 1,100만 원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많이 받는 대신에 보급대수가 작겠죠.
주행거리 실주행거리
전기차를 선정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주행거리인데요. 바로 EV6가 인기 많은 이유 중 하나가 긴 주행거리 때문입니다. EV6 롱 레인지 2WD 17인치 휠 기준 1회 충전 주행거리는 475km입니다. 하지만 이는 국내 인증 거리로서 다소 신뢰성이 떨어지는 주행거리이죠. 실질적으로 운행을 해본 결과 날씨가 좋은 봄, 여름에는 주행거리가 에어컨을 껐을 때 600km 넘게도 주행이 가능하며, 에어컨을 3단 정도 틀었을 때는 550km 내외로 주행이 가능합니다. 전기차 특성상 느리게 주행할수록 주행거리가 길어지며, 회생제동을 이용하면 더욱더 길어지기 때문에 운전습관에 따라 주행거리가 천차만별입니다.
충전 속도 세계 1위
독일 슈투트가르트 소재 컨설팅 회사인 'P3 Group'이 전기차의 충전시간을 조사한 충전 지수를 발표했습니다. 해당 실험은 10~80%까지 20분 내에 재충전된 범위를 결정하는 것으로 단일 충전기를 사용하여 속도를 측정하는 실험입니다. 이 값을 기반으로 300km의 사거리가 20분 내에 충전되면 인덱스 값은 1.0으로 칭하게 되는데 이 테스트에서 기아 EV6가 1.03을 기록하여 전체 테스트에서 1위를 차지했습니다.
EV6는 국내기준 350kW 초급속 충전기로 충전하면 10~80%까지 18분이 소요됩니다. 해당 실험에서 지난해 1위였던 벤츠 EQS는 0.92(275km)로 2위, BMW iX xDrive50은 0.91(273km)로 3위, 현대 아이오닉 5 2WD 0.91(272km)로 4위, 포르쉐 타이칸 GTS 0.90(271km)로 5위를 기록했습니다. 즉 이 뜻은 EV6만 20분 내에 충전하여 300km 이상 달릴 수 있는 충전 속도를 보여주었다는 뜻이 되므로 충전 속도 전 세계 1위의 쾌거를 달성했습니다.
출고기간
현재 EV6 출고기간은 얼마 전까지만 해도 18개월이었지만 최근 4개월이 단축되면서 14개월로 변동되었습니다. 즉 1년 2개월을 대기해야하는데요. 그나마 조금 빨라지긴 했지만 여전히 오랜 기다림이 필요합니다. 해당 기간도 정확한 기간이 아닌 납기가 더 길어질 수 있다는 점도 참고하셔야겠죠. 오히려 EV6보다 쏘렌토 하이브리드, 스포티지 하이브리드가 더 오랜 기간 대기를 해야 합니다.
EV6는 출시 후 유럽에서 지난해 최고의 상을 받았으며, 미국에서도 각종 상을 휩쓸 정도로 큰 인기입니다. 단순 디자인뿐만 아니라 주행거리, 충전 속도 등 전기차 기술력을 인정받았다고 할 수 있어서 뜻깊습니다. EV6가 출시한 지 벌써 1년이 지났는데요. 앞으로 EV6의 인기를 절대 떨어지지는 않을 듯 보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