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네시스 GV60 가격표 보조금 실주행거리 실구매가 출고기간
제네시스 GV60
제네시스 GV60은 제네시스에서 첫 번째 전기차는 아니지만 현대 기아의 전기차 전용 플랫폼을 적용한 첫 번째 전기차라고 할 수 있습니다. GV60 이전에 G80 전기차가 먼저 출시하면서 제네시스 첫 전기차의 타이틀을 뺏겼습니다.
하지만 전기차 전용 플랫폼을 적용하여 G80 전기차보다는 더 이점이 많기 때문에 다른 관점에서 보면 더 좋은 차량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제네시스 GV60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패밀리룩을 적용했지만 다른 디자인
우리가 상상했던 것과는 다른 GV60의 디자인으로 출시했습니다. 우리가 추측하기로는 GV70, GV80와 같은 패밀리룩을 상상했지만 전혀 다른 엣지형 디자인으로 나왔습니다. 디자인이 다른 이유는 바로 E-GMP 플랫폼을 적용하여 기존 내연기관 차량들과는 전혀 다른 디자인을 적용할 수밖에 없었던 것입니다.
2022.06.29 - [분류 전체보기] - 현대 아이오닉 6 디자인 공개 조선 포르쉐 등장
전면부 디자인은 상당히 부드럽지만 엣지 디자인을 접목시켜 날렵한 인상을 동시에 주고 있으며, 제네시스의 상징인 쿼드 램프 역시 직사각형이 아닌 사다리꼴 형태이면서 모서리가 없는 타원형 방식을 적용하였습니다. 그리고 헤드램프는 상하 5구 LED를 각각 적용항 10구 LED 램프를 적용하면서 퀄리티까지 높였습니다. 그리고 전기차에는 그릴이 필요가 없지만 그 하단에 그릴 패턴을 적용하여 제네시스 패밀리룩을 완성하였고, 바로 하단에는 인테이크 그릴을 적용하여 제네시스의 통일성을 적용하기 위한 노력이 보입니다.
후면부 디자인을 보면 SUV보다는 CUV, 또는 쿠페형에 가까운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리어 글라스에 스포일러를 적용하여 수평으로 브레이크 등까지 적용하여 조명 맛집으로 거듭나고 있습니다. 테일램프 그래픽은 마치 BMW에 적용한 그래픽을 적용하여 확실히 조명 기술도 많이 발전하고 있다는걸 증명해주고 있습니다.
아쉬운 크기
디자인을 위해서 CUV보다는 쿠페형으로 디자인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쿠페형의 장점은 세단과 같은 디자인으로서 SUV 디자인보다는 정말 예쁘지만 SUV의 가장 큰 장점인 공간이 좁아지게 됩니다. 2열 헤드룸은 낮아지면서 키크신 분들은 머리가 닿을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특히나 트렁크 공간이 작아지면서 짐을 많이 싣지 못하게 되는 게 가장 큰 단점이죠. 쿠페형 SUV를 살 때는 짐을 많이 싣지 못하기 때문에 감안하고 구매해야 합니다.
제네시스 GV60은 전장 4,515mm, 전폭 1,890mm, 전고 1,580mm, 휠베이스 2,900mm로 크기는 투싼 이전 모델과 흡사한 크기로 상당히 작지만 현대의 E-GMP 플랫폼의 강점인 바로 휠베이스가 정말 길다는 것입니다. 무려 2,900mm로 모델Y 2,890mm보다 10mm가 더 깁니다. 참고로 모델 Y의 전장은 4,751mm로 GV60보다 훨씬 큽니다.
측면부에서 큰 특징은 플래시 도어 핸들을 적용하였으며, 특히 특이한점은 글라스 상단에 크롬 몰딩을 따라 흐르다가 C필러에 '<' 형태로 꺾여 있습니다. 이 디자인은 EV 이미지를 형상화했다고 하는데요. 디자인도 디자인이지만 크롬라인까지 리어 글라스가 뻗어 있다는 게 상당히 독특한데 리어 글라스를 재단하기 상당히 까다로울 듯 보입니다.
일체형 디스플레이를 적용한 GV60
현재 제네시스 인테리어 디자인을 살펴보면 센터 디스플레이와 클러스터가 분리형으로 디자인 되어 있습니다. 특히나 센터 디스플레이는 운전자와 거리가 멀어서 조작하기 어렵다는 불편함이 많았지만 GV60에 일체형 디스플레이를 적용하면서 손을 뻗어 조작하기가 훨씬 편리해졌습니다.
그리고 스티어링 휠 디자인도 다르게 디자인 되었는데 기존 제네시스 디자인보다는 훨씬 젊은 감각을 보여주었고, 센터 콘솔은 내연기관처럼 연결할 필요가 없이 독자 콘솔로 제작되었습니다. 전기차에서 큰 특징은 센터 터널이 없어서 터널 위치에 수납함을 만들 수 있어서 짐을 더 많이 실을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GV60에서 한 가지 아쉬운 점은 디지털 사이드미러 모니터인데요. 아우디 E트론처럼 도어트림에 일체형으로 장착했으면 좋았겠지만 그러기에는 화면이 너무 작아서 사고의 위험이 있어서 크게 디자인한 듯 보입니다.
크리스탈 스피어 변속기
GV60에서 가장 눈길을 끄는 건 바로 크리스탈 스피어입니다. 구(球) 형상의 전자 변속기인 크리스탈 스피어는 운전을 하지 않을 때는 인테리어를 위해 무드등으로 바뀌고, 시동이 걸리고 나면 반대로 돌아가면서 전자식 다이얼 변속기로 변환이 되면서 미래지향적 디자인을 적용하였습니다. 해당 기능은 이미 콘셉트에서도 적용하면서 실제 양산차에 적용할 수 있을지가 의문이었는데 실제로 적용하면서 많은 찬사를 받고 있는 기능입니다. 저도 크리스탈 스피어에 반해서 정말 사고 싶었습니다.
GV60 가격표
제네시스는 현대 기아와 다르게 트림이 나뉘어져 있지 않고 단일 트림으로 판매합니다. 그다음 선택 옵션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건데요. 어떻게 보면 단일 트림으로 운영하고 선택 옵션에서 원하는 걸 선택할 수 있는 게 가장 현명한 방법입니다.
가격은 현재 개소세 3.5% 혜택이 적용되고 세제혜택을 받아서 5,990만 원에 판매되고 있습니다. 여기에 AWD, 퍼포먼스 AWD를 선택하면 각각 500만 원, 1,050만 원이 추가로 발생됩니다. 외장색상에서 기본적인 색상은 무료이지만 상파울로 라임, 무광 3종 컬러를 선택하려면 70만 원의 비용이 발생됩니다. 휠&타이어, 내장 디자인에서도 옵션을 변경할 수 있는 게 가격이 상당히 만만치가 않습니다. 퍼포먼스 모델이 비싸다고 생각됐는데 휠&타이어가 최고급으로 들어가는 걸 감안하면 어느 정도 납득이 가는 금액 대입니다.
2022.06.09 - [분류 전체보기] - 2022 팰리세이드 페이스리프트 출시 가격 옵션 하이브리드 출시할까?
선택 옵션
위 옵션에서는 필수로 선택해야 하는 사양들인데요. 기본 사양을 선택하면 비용 발생이 없기 때문에 기본 사양만 선택해도 됩니다. 그리고 다음에는 선택 옵션인데요. 내가 필요하면 넣을 수 있고 필요 없다면 넣지 않아도 되는 옵션들입니다. 소비자들이 가장 많이 선택하는 옵션들을 하나로 묶은 패키지가 있습니다. 파퓰러 패키지인데 해당 패키지는 HUD, 컨비니언스, 하이테크, 드라이빙 어시스턴스 I 옵션이 묶어놨으며 가격은 520만 원이 추가됩니다. 각각 선택 옵션을 넣으면 580만 원이지만 해당 패키지는 60만 원이 더 저렴합니다.
그 외 옵션들을 보면 디지털 사이드미러 150만 원, 드라이빙 어시스턴스 패키지 II 200만 원, 아웃도어 패키지 60만 원, 뱅앤울룹슨 사운드 시스템 190만 원, 빌트인 캠 패키지 70만 원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GV60 보조금
전기차 보조금은 국가에서 지원하는 국고보조금, 사는 지역에서 지급하는 지자체 보조금이 있습니다. 올해 국고 보조금은 최대 700만 원으로 전년대비 100만 원 감소되었습니다. 700만 원을 받기 위해서는 차량 가격이 5,500만 원 이하여야 하는데 지난해에는 6,000만 원 이하라서 GV60 가격을 5,990만 원으로 책정했었죠. 그래서 올해는 보조금을 50%밖에 받지 못하게 되었습니다.
GV60 보조금을 살펴보면 2WD 19인치 350만 원, AWD 19인치 349만 원, 20인치 336만 원, 퍼포먼스 319만 원으로 주행거리에 따라서 가격이 조금씩 깎이게 됩니다. 그리고 지자체 보조금은 서울은 전기차 대량 보급을 위해 보조금이 최대 200만 원밖에 되지 않으며, GV60은 5,500만 원이 넘어 지자체 보조금 역시 50%밖에 받지 못하기 때문에 서울 기준 100만 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부산은 125만 원, 대구 200만 원이 되겠네요.
실구매가
GV60 스탠다드 2WD 모델을 선택한다면 5990-350-100=5,540만 원에 구매가 가능합니다. 선택 옵션을 더하더라도 기본 트림 가격으로만 책정하기 때문에 무조건 보조금 50%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실주행거리
제네시스 GV60 실제로 주행을 해서 실험한 모트라인 윤성로 유튜버님의 표를 보면 다양한 데이터를 볼 수 있습니다.
GV60 ST 2WD | GV 60 ST AWD | GV60 퍼포먼스 | GV60 ST 2WD 2명 | GV60 ST 2WD 2명 발컨 | |
속도 | 95km/에코 | 110km/h | 110km/에코 | 95km/컴포트 | 95km/에코 |
실 주행거리 | 392km | 395km | 326km | 401km | 392km |
남은 주행거리 | 138km | 0 | 64km | 97km | 138km |
예상 주행거리 | 530km | 395km | 390km | 498km | 530km |
고속 상온 주행거리 | 411km | 358km | 342km | 411km | 411km |
환경부 인증 편차 | 93km | 37km | 48km | 87km | 119km |
전비 | 6.9km/kW | 5.4km/kW | 5.1km/kW | 6.1km/kW | 6.9km/kW |
※위 데이터는 모트라인 윤성로 유튜브가 직접 운행하여 얻은 데이터입니다.
해당 데이터들을 보면 국내 환경부 인증이 얼마나 엉터리인 줄 알 수 있습니다. 세계에서 전기차 주행거리 인증을 보면 국내가 가장 엉터리이며 가장 수치가 낮게 나옵니다. GV60 배터리는 77.2kWh가 장착되어 있고, 인증 거리도 실제로 2WD 모델이 451km이지만 주행만 잘하면 고속에서도 500km 이상을 탈 수 있습니다.
운전습관에 따라 다르며 전기차는 저속으로 운전할수록 주행거리가 늘어나기 때문에 꽉 막히는 시내에서는 가장 현실적인 대안이 바로 전기차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해외에서도 극찬한 제네시스 GV60
현대 기아가 전기차에 늦게 진출했지만 성과는 그 이상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기술, 성능 등 모두 우위를 점하고 있는데요. 미국 전기차 시장에서는 테슬라 다음으로 점유율이 높습니다. 그리고 제네시스 GV60은 이제 막 수출을 시작한 상태인데요. 유럽, 미국에서 상을 휩쓸고 있고 실제 시승기에서도 기자들의 극찬을 받아내고 있습니다.
하지만 물이 들어올 때 노를 저어야 하는데 현재로서는 반도체 부족으로 수급이 원활하지 않은 상황인데요. 출고 대기기간이 현재 12개월 이상으로 표시되어 있지만 실질적인 대기기간은 20개월을 넘어서고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