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2 벤츠 EQE 가격 주행거리 국내 출시일 보조금
2022 벤츠 EQE
2022 벤츠 EQE 가격 주행거리 국내 출시일 보조금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EQE는 E클래스의 전기차 버전이라고 할 수 있지만 전기차 전용 플랫폼 EAV를 적용하였기 때문에 다른 차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지난해 대형 플래그쉽 전기 세단 EQS를 출시하였지만 가격대가 너무 비싸 접근하기가 매우 어려웠습니다. 하지만 EQE라면 한급 낮은 세그먼트이기 때문에 더 판매량이 높을것으로 예상되는데요 아래에서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여전히 아쉬운 디자인
EQS도 마찬가지이지만 EQE는 오히려 더 전면부가 어색해졌습니다. 요즘 트랜드라고 할 수 있는 그릴과 헤드램프를 일체형으로 제작했지만 또 다른 트렌드인 슬림형 헤드램프로 저작하지 않았습니다. 슬림하게 디자인 안 할 수도 있지만 큼직하면서 불규칙한 디자인의 헤드램프는 어울리지 않는 모습입니다.
반면 후면부의 테일램프는 깔끔한 디자인으로 전면부와는 반대되게 예쁩니다. 그래픽 디자인도 EQS와 비슷한 디자인을 하고 있어 세련되면서 깔끔합니다.
쿠페형 세단
EQE도 마찬가지로 공기저항계수를 낮추기 위해 쿠페형으로 디자인 하였습니다. 크기는 전장 4,946mm, 전폭 1,961mm, 전고 1,512mm, 휠베이스 3,120mm로 e클래스와 비슷한 크기이지만 휠베이스는 엄청 길게 뽑았습니다. 쿠페형 디자인이지만 전고가 상당히 높죠.
플래시 도어 핸들과 사이드 미러는 A필러가 아닌 도어에 장착한 플래그 사이드 미러를 적용하여 사각지대를 최소화 합니다.
EQS와 동일한 인테리어
인테리어는 EQS와 동일한 하이퍼 스크린을 적용하였습니다. 12.3인치 크기의 클러스터와 조수석 앞 디스플레이, 센터에 17.7인치 크기의 디스플레이가 적용되어 있습니다.
아쉬운 건 2열 콘솔에 디스플레이의 부재가 아쉽습니다. 아마도 EQS와 급은 나누기 위함으로 보입니다. EQE도 낮은 급은 아니기 때문에 앞에서 무엇을 하고 있는지 표시해주는 LCD 창이라도 직용했으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 그리고 2열 디스플레이 역시 없는 것도 아쉬운 부분.
2023 BMW 7 시리즈 풀체인지 i7 전기차 가격 옵션 성능
조수석에 탑승객은 벤츠 블루투스 헤드폰으로 음악을 듣거나 유튜브와 같은 동영상 시청들이 가능합니다. 여기서 한 가지 웃긴 건 운전자가 조수석으로 시선을 돌리면 조수석 앞 디스플레이가 꺼지는데 그렇게 된다면 사이드미러를 자주 보게 되면 계속 꺼지게 되는데 왜 이렇게 설계를 했을까요?
EQE 350 제원
EQE는 350, 500 두 가지 모델로 판매하지만 국내에는 우선 350 모델만 판매를 시작합니다. 배터리는 90 kWh 용량의 리튬이온 배터리가 장착되고 싱글모터카 장착되어 최고출력 215kW(288마력), 최대토크 530Nm(54.1kgf.m)의 힘을 갖췄습니다. 싱글 모터임에도 불구하고 높은 출력과 토크를 갖췄습니다.
충전시간
EQE는 170kW 급속 충전을 지원하여 30분 만에 10~100프로까지 충전이 가능하다고 설명합니다. 조금 말이 안 되는 게 아이오닉도 200kW 급속 충전으로도 10~80프로까지 26분이 소요되는데 충전 속도가 느린 EQE가 아이오닉보다 빠르다는 게 말이 되지 않는군요.
주행거리
주행거리는 WLTP 유럽 기준 660km로 해당 주행거리는 국내에서 가장 긴 주행거리이지만 단지 유럽 기준일 뿐입니다. 전비가 5.2km/kWh로 환산해보면 468km이지만 회생제동 기능을 사용하여 기록한 듯 보입니다.
여기서 또 아쉬윈점 발견. 겨울철에 가장 취약한 전기 배터리는 히트펌프가 EQE EQS에 모두 장착되지 않았습니다. 그 말은 즉 겨울철 주행거리가 극악으로 줄어든다는 뜻이 되겠죠? 얼마 전 겨울 영하에서 EQS의 주행거리가 극악으로 떨어졌던 시험 결과가 있는데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국내에 EQE가 주행거리 인증을 받게 된다면 약 400km 초반으로 인증될 것으로 추측됩니다.
예상 가격
EQE는 현재 위럽에서 71,000유로부터 판매를 하고 있는데 환산하면 약 9,400만 원입니다. EQS 450+ 모델이 유럽 가격 107,326유로에 판매되는데 환산 가격 약 1억 4,360만 원입니다. EQS 450+는 국내 판매 가격이 1억 5,700만 원에 판매하는 걸 감안한다면 EQE 예상 가격은 약 1억 전 후로 예상됩니다. 이 가격이라면 E클래스보다 윗급에 속하게 되죠.
보조금 및 출시일
보조금은 8,500만 원 이상의 전기차는 지급하지 않기 때문에 EQE는 보조금을 받지 못합니다.
독일 신차가 국내 출시하기까지는 6개월에서 1년 사이입니다. 빠른 경우 6개월도 안 걸리는 경우가 가끔 있긴 하죠. EQE 국내 출시는 10월에서 12월 사이로 추측됩니다.
벤츠는 확실히 내연기관에서 프리미엄다운 면모를 보여주었습니다. 하지만 전기차로 넘어오면서 프리미엄 브랜드 이미지가 사라졌습니다. 현재는 확실히 폭스바겐, 현대 기아가 선두자리를 지켜내고 있는데요. 오히려 벤츠보다 아우디가 전기차 부분에서 더 높은 판매량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EQE가 1억 원대에 출시된다면 선택지가 다양한 브랜드가 많기 때문에 판매량이 아마 별로 많지 않을 것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