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3 메르세데스-EQ EQS 가격 옵션 주행거리 할인 프로모션
2023 메르세데스-EQ EQS
2023 메르세데스-EQ EQS 가격 옵션 주행거리 할인 프로모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벤츠 EQS는 벤츠에서 최초로 전기차 전용 플랫폼을 적용하여 출시한 첫 번째 전기차입니다. 첫 전기차를 대형 세단으로 출시해서 의아했었죠. 대형 플래그쉽 세단 시장이 많이 죽어가고 있었으니까요.
그런데 국내에서는 인기가 높은 모델로 꼽힙니다. 높은 가격대이지만 국내 소비자들은 법인차량으로 많이 뽑기 때문이죠. 벤츠 S클래스의 전기차 버전인 EQS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벤츠 EQ 전용 디자인
벤츠가 전기차 전용 브랜드 EQ를 출범하고 전기차에는 내연기관과 다른 전기차 전용 디자인들이 적용되어 있습니다. 우선 헤드램프가 기존보다 더 광량이 더 좋아보이죠. 전기차 특성상 라디에이터가 없기 때문에 바디를 적용하는데 EQS난 블랙 바디(하이그로시)를 적용하고 벤츠 엠블럼을 그릴 패턴처럼 디지털 패턴을 적용하였습니다.
범퍼에 적용된 에어 인테이크, 범퍼 그릴은 기존과 동일한 디자인으로 적용 되었는데 모터 열을 어느 정도 식혀줘야 하기 때문에 남겨 놓았습니다.
후면부의 테일램프는 다른 브랜드처럼 일체형 테일램프를 적용하였으며 그래픽은 심장박동 그래프의 패턴을 적용하였습니다. 중앙부에 연결된 것처럼 사이드 테일램프를 슬림하게 디자인하면 좋겠는데 E클래스와 비슷한 형상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중앙부 연결된 것만 제외한다면 기존 내연기관 세단 디자인과 크게 다른 점이 없어 보입니다. 양 사이드에는 에어 인테이크가 적용되어 있죠.
S클래스 전기차 버전
벤츠의 플래그쉽 세단 S클래스 전기차 버전의 EQS의 제원은 전장 5,225mm, 전고 1,520mm, 전폭 1,925mm, 휠베이스 3,210mm로 전장은 S클래스보다 45mm, 휠베이스 104mm가 더 길지만 전폭은 25mm가 더 좁습니다. 전기차 전용 플랫폼을 적용하여 그런지 전장도 더 길게 빠졌고 휠베이스도 더 길게 빠졌습니다.
우선 비율도 세단형식이 아닌 쿠페형식으로 롱노즈 숏데크 디자인이지만 그렇다고 한들 후드가 그렇게 길지 않은 게 특징입니다. 롱 노즈 숏 테크는 스포츠카 비율을 갖추고 있는데 EQS는 쿠페형으로 디자인되다 보니 롱 노즈 숏 데크 디자인을 갖추게 되었죠. 전기차 특성상 엔진이 빠지고 단순한 전기모터가 장착되다 보니 후드 부분을 짧게 뺄 수 있었습니다.
프렁크가 없는 EQS
벤츠 EQS는 프렁크를 열 수 없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이유를 밝히지는 않았지만 아마도 외부 수리를 맡기지 말고 공식 서비스센터를 이용하라는 뜻으로 보이죠. 정비로도 돈을 벌겠다는 뜻입니다. 프렁크를 열지 못하니 워셔액을 넣을 수 있는 입구는 운전석 프런트 휀더에 위치해 있습니다. 벤츠의 의도가 너무 사악하죠.
수입차 같은 경우 국산 현대 기아 부품값에 2~5배 비싸며, 공임비까지 비싸기 때문에 수입차전문 정비소에서 수리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벤츠, BMW 같은 경우 엔진오일만 교체하는 가격만 하더라도 50만 원에 육박한다고 들었는데 정말 저 가격이라면 부자들 빼고는 서비스센터에 가서 엔진오일 교환을 하지 않을것입니다.
인테리어 끝판왕
벤츠는 외관보다는 인테리어가 가장 아름답고 화려했습니다. 운전의 즐거움을 선사하는 게 바로 벤츠였죠. EQS 역시 기존 내연기관 모델의 인테리어와는 다른 전기차 EQ만의 인테리어를 적용하였습니다. 총 트리플 디스플레이를 적용하였는데 운전석, 센터, 조수석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계기판과 조수석 앞 디스플레이는 12.3인치 크기이며, 센터 디스플레이는 17.7인치 크기를 적용하여 마치 하나로 연결된 듯 보이는데 중간중간 끊긴 부분이 선명이 드러나 있어서 아쉽습니다.
스티어링 휠 디자인이나, 센터 콘솔, 송풍구 디자인 등은 기존 내연기관이랑 동일하지만 디스플레이만으로도 내연기관의 디자인을 잊게 만들어주는데요. 트리플 디스플레이를 적용하려면 옵션으로 선택해야 합니다.
디자인상으로는 디지털화가 육안상으로 예쁘지만 익숙해지기 전까지는 불편할 것이죠. 어디로 들어가야 공조시스템을 작동할지, 어느 쪽으로 들어가야 차량 시스템을 조작할지 차근차근 익혀야 하기 때문에 나이를 드신 어른분들에게는 상당히 어려울 듯 보입니다.
완전히 디지털화하기보다는 공조시스템정도는 물리적인 버튼을 적용하여 조작하기 쉽게 하는 것도 괜찮은 방법이라 생각됩니다.
주행거리 및 실 주행거리
전기차를 고르는 첫 번째 고려사항은 바로 주행거리입니다. 주행거리가 길어야 장거리를 뛸 때 충전하지 않고 갈 수 있기 때문에 주행거리를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우선 EQS 배터리 용량은 기본형은 90.5kWh, 향속형은 107.8kWh 용량을 갖추고 있습니다. WLTP 유럽기준 107.8kWh 주행가능거리는 720km를 기록해지만 국내에서는 479km로 책정되었죠. 유럽은 후하게 쳐준다고 하지만 국내에서는 완전 극악인데요. 국내 인증거리는 극악의 조건에서 테스트를 하며 회생제동을 신경 쓰지 않기 때문에 주행거리가 짧습니다.
실질적으로 유튜버 모트라인의 윤성로 님께서 실주행 테스트를 해주셨는데 주행거리는 아래와 같습니다.
- EQS 350 배터리 90.8kWh, 실 주행 온도 10.6도, 실 주행거리 391km, 주행가능 거리 163km 합 554km 환경부 인증 고속 상온 주행가능거리 421km 차이 +133km
- EQS 450+ 배터리 107.8kWh, 실 주행 온도 8.7도, 실 주행거리 400km, 주행가능 거리 231km, 합 631km 환경부 인증 고속 상온 주행가능거리 470km 차이 +161km
모트라인에서 정말 유익한 실험을 해주셨습니다. 유럽 인증거리만큼은 아니지만 그래도 어느 정도 긴 주행거리를 보여주고 있죠.
충전 속도 및 시간
전기차에서 주행거리 다음으로 중요한게 바로 충전시간이죠. 전기차는 일반 주유소처럼 빠르게 주유할 수 없기 때문에 충전하는게 가장 큰 단점입니다.
EQS난 400V 급 고전압 시스템을 지원하여 200kW 급속충저늘 이용하면 15분만에 300km를 주행할 수 있는 충전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전기차를 충전해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200kW 속도로 충전을 하더라도 충전할 수록 속도는 줄어들어 200kW로 계속충전이 불가능합니다. 결국 충전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는 단점이 있죠.
가격 및 할인 프로모션
현재 판매 중인 모델은 2가지입니다.
구분 | EQS 450+ | EQS 450 4MATIC |
가격 | 1억 6,160만 원 | 1억 8,860만 원 |
할인 | 1,131만 원(7.0%) | 1,320만원(7.0%) |
금융할인 | 1,131만 원(7.0%) | 1,320만 원(7.0%) |
350은 현재 판매하지 않고 450+, 450 4MATIC을 판매하고 있으며 할인은 각각 1,000만 원을 넘기고 있습니다. 할인 금액을 제외하면 실구매 가격은 450+ 1억 5,029만 원, 450 4MATIC 1억 7,540만 원에 구매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여기에서 선택옵션도 상당히 많기 때문에 풀옵션을 추가하면 2억 도 넘어가게 되죠. 특히 EQS의 핵심인 트리플 디스플레이를 적용하려면 1,000만 원이 넘는 옵션비용을 지불해야 합니다.
EQS는 8,500만 원이 넘어가기 때문에 보조금을 받지 못합니다. 그냥 돈 있으시는 분들이 사시는 차라고 해야 하는데요. 외관은 제 취향이 아니지만 그래도 벤츠라면 타보고 싶은 마음이 들 것 같습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2022 벤츠 EQE 가격 주행거리 국내 출시일 보조금
댓글